블로그 이미지
안녕하세요. 저의 생활 레벨의 이야기를 전달하여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godneck

태그목록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아닐 비(非) 류의 한자들을 일망타진하는 방법입니다.

 

아래의 표시는 날비(飛)에 대한 고대의 금문이라고 합니다.

(윗 부분의 붉은 점 부분은 원래는 갑골문에는 없는 부분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넣었습니다.)



(날 비)

 


 이 표시는 누구나 짐작하시겠지만, 하늘을 나는 새의 모형을 본딴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윗 부분은 머리부분을, 아래 부분은 동체 부분을, 그리고 왼쪽 날개오른쪽 날개가 각각 좌우에 배치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즉, 하나의 새가 온전히 날기 위하여서는, 왼쪽 날개, 오른쪽 날개(좌익, 우익이라 하죠.) 뿐 아니라, 두부(頭部)와 동체부(動體部)가 함께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오히려 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죠.


그런데, 이 글자에서 두부와 동체부가 빠진 글자가 있습니다. 


(아닐 비)

 




바로 아닐 비(非) 자입니다. 왼쪽의 금문은 위의 날 비(飛)자의 금문에서 두부와 동체부가 빠지고 좌우익이 옆으로 갈라져 있는 형태가 되겠죠.

그래서, 아닐 비 자는 머리와 동체부가 빠져서 정상이 "아니다"라는 뜻에서부터, 머리와 동체부가 "없다"(없을 비)는 의미, 핵심부가 빠져서 옳지 않고 "그르다"는 의미, 중앙에 컨트롤하는 부분이 없으니 좌우익이 서로가 서로를 "나무란다"는 의미까지가 파생되어져 나옵니다.

 

 


그렇다면, 아닐비자가 활용되어져 나온 한자들에서는 이와 같은 사실이 어떻게 표현되어 있을까요?



(슬플 비)

 슬플 비(悲)자를 보죠. 핵심부가 빠져서 좌우익이 서로 다투니, "슬플" 수밖에 없죠.

 

(물리칠 배)

 또 하나를 볼까요? 물리칠 배(排)라고 알고 있는 이 자는 물리치다, 밀다, 줄서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좌익과 우익이 서로 갈라져 다투는 이 세상에서, 좌익은 좌익끼리, 우익은 우익끼리 서로 "줄선다는" 의미 뿐 아니라, 좌익은 우익을, 우익은 좌익을 서로 "물리치고" "밀어내는" 현상을 표현한 것입니다. 좌변의 손수자는 물리치고 밀어내는 데 쓰이는 손을 표현한다고 할 수 있죠.


결국, 날 비자와 아닐 비자 등은 본래 인간 세상이 좌익과 우익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핵심부인 두익(頭翼)이 있어야 하는데, 이 부분이 빠져 있는 슬프고 비통한 세상에 대한 한탄과 비탄이 섞인 글자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날 비에서 아닐 비자를 생각하여 낸 사람들은 비정상적인 현재의 상태를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하여서, 유교에서 말하는 왕도정치, 기독교에서의 메시아 사상, 불교에서의 극락정토사상과 같은 사상들을 꿈꾸었을지도 모르는 일입니다.